리눅스는 윈도우와 다르게 최상위 디렉토리에서 하위 디렉토리로 뻗어나가는 구조이다.
최상위 디렉토리는 / 이며 root 디렉토리라 부른다.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도와주는 것을 커널이라 하고 커널을 다룰 수 있게 도와주는 명령어 해석기 를 쉘 이라 한다.
프롬프트의 기본 구조이며 centos는 현재 사용자의 이름 localhost는 컴퓨터의 이름 ~, /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 위치이다.
$ 표시는 일반 사용자이며
# 일경우 root 관리자 권한이다.
리눅스의 장점은 명령어를 익히면 사용이 편하다는 점인데. 각종 수많은 명령어 뒤에 옵션이 더 중요하다.
기존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ls : 현재 경로에 존재하는 디렉토리, 파일 목록들을 출력해준다.
- l : 권란, 링크파일 소유자, 관리그룹 등등을 표시해주고
- i : 파일의 아이노드 번호 표시
- R : 하위 디렉토리 까지 모두 출력
- a : 숨김 파일까지 같이 표시해준다.
리눅스에서는 파일, 디렉토리 앞에 . 을 붙이면 숨김처리가 되는데 ls -a 명령어를 쓰면 그 숨김파일 까지 전부 보인다.
평소에 많이 쓰이는 거로는 ls -li ls -al 등등이 있다.
디렉토리 생성 명령어
mkdir [생성할 디렉토리 이름] : -p 옵션을 사용하면 하위 구조까지 한번에 생성이 가능하다
ex: 김한길/한길/한길맨 을 한번에 만들고 싶다면
mkdir -p 김한길/한길/한길맨 이렇게 사용하면 된다.
삭제 명령어 rm
rm -r [삭제할 파일 이름 (디렉토리도 삭제 가능)] : rm만 사용하면 파일만 삭제 가능하나 -r 옵션을 붙이면 디렉토리도
삭제가 가능하다.
f 옵션까지 더하면 강제성을 띄운다. (강제 삭제 가능)
경로
절대경로 & 상대경로
경로를 입력하는 방식은 2가지가 있는데
절대경로 : 최상위 디렉토리인( /) 에서부터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경로를 모두 입력
상대경로 :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경로를 입력
현재 디렉토리는 . 으로 표시할 수 있다 ./
복사 관련 명령어
cp : 파일을 복사할 때
ex: cp kim kim1 = kim이라는 파일을 kim1이라는 파일로 복사함. *파일명이 같아서는 안됨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어 입력 재지정 (I/O Redirection), 파이프라인 (0) | 2021.02.22 |
---|---|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관련 명령어 (grep, find) (0) | 2021.02.22 |
프로세스 (0) | 2021.02.08 |
리눅스 - 링크 (0) | 2021.01.28 |
리눅스 - 마운트 (0) | 202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