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ms 윈도우 사용자 이기 때문에 마운트란 용어에 익숙하지 않을것이다.
ms윈도우 에서는 USB 장치 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마운트를 해주기 때문에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반면 리눅스에서는 마운트를 수동으로 해줘야 한다. 그리고 마운트 작업이 끝난다면 꼭 umount 명령어를 통해 마운트를 해제 하여야 한다.
1.마운트란 무엇인가?
마운트란 우리가 사용하는 물리적인 장치(DVD,CD,USB)등등을 사용하기 위해선 운영체제(os) 에 인식시켜야 하는데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것을 마운트 라고 한다. 각 장치들을 특정 디렉토리(이것을 마운트포인트 라고 함)에 연결 시키는 작업을 마운트 작업이라고 하며 연결된 후 부터 그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즉 마운트란 특정장치(device)를 하나의 디렉토리 처럼 사용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이다.
2. 현재 마운트 정보 파악하기
mount 명령어를 입력하여 현재
/dev/sd* 파일이 마운트 돼있는지 확인한다.
(/dev/sd*는 하드디스크나 USB메모리 등을 의미한다. /dev/sda는 Centos가 설치된 최초 하드디스크를 나타내며/dev/sdb는 추가한 USB 메모리를 나타낸다.)
마운트 정보를 담고있는 파일이 있는데 /etc/mtab 파일이 마운트 정보를 담고있다. 즉
mount 명령어를 입력하면 /etc/mtab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것과 같다고 보면된다.
mount 명령어보다 좀더 직관적으로 잘 보이는 명령어는 df -h 를 입력하면 된다.
3. 가장 많이 사용되는 CD-ROM, DVD 마운트
마운트 작업의 사용형식은
mount [옵션] [장치명] [마운트포인트]
마운트를 하기전 마운트를 할 디스크에 파일시스템을 설치하여야 한다 파일 형식은 xfs 또는 ext4 형식으로
설치해준다음
mkfs -t xfs [마운트 할 장치]
이렇게 마운트 한 뒤, /media/cdrom 디렉토리로 가면 씨디롬에 저장된 파일들을 읽을 수 있다.
마운트 포인트는 자기가 원하는 디렉토리를 생성한후 원하는 위치에다 마운트 해도 된다.
마운트를 해제하는 방법은 umount [마운트한 디렉토리]
마운트 되어있는 상태에서 CDROM 을 뺄 수 없으며, 언마운트를 해야지 마운트가 해제되고 CD-ROM을 뺼 수 있다.
마운트된 CD-ROM을 umount 하려면 /media/cdrom에서 다른곳으로 빠져나와 umount 해야 한다.
재부팅을 하면 설정이 마운트가 해제 된다. 마운트 설정을 저장해놓고 싶다면 /etc/fstab 파일 수정[장치명] [마운트 포인트] [파일시스템] [옵션] [덤프] [fsck]
장치명 : 마운트 할 장치
마운트 포인트 : 마운트 포인트, 디렉토리
FStype : ext3, ext4, xfs, swap
옵션 : defaults, noauto, ro, rw, usrquota
덤프 : dump 명령어가 해당 파일 시스템을 점검해서 덤프가 필요한지 아닌지
검사
fsck : fsck 명령어가 해당 파일 시스템을 점검해서 복구 또는 검사가 필요한지
아닌지 검사
0이면 검사X, 1이면 검사O
4. 디스크 추가 후 인식 (재부팅 없이)
디스크 인식 : echo "- - -" > /sys/class/scsi_host/host[x]/scan
x는 호스트마다 번호가 달라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어 입력 재지정 (I/O Redirection), 파이프라인 (0) | 2021.02.22 |
---|---|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관련 명령어 (grep, find) (0) | 2021.02.22 |
리눅스 관련 기초 프롬프트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0) | 2021.02.19 |
프로세스 (0) | 2021.02.08 |
리눅스 - 링크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