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일의 링크는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 2가지가 있다.
하드링크는 기존 파일의 inode번호마저 똑같이 생성된다.
하드링크
사용법 : ln 링크대상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inode: inode는 리눅스/유닉스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를 말한다. 파일이나 디렉토리에는 여러가지 정보가
있으며, 모든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각자 한개씩의 고유한 inode를 갖고있다. 각 inode에는 해당 파일의 소유권,허가권, 파일 종류등의 정보와 해당 파일의 데이터 위치(=주소)도 있다. 이러한 inode가 모여있는 공간이 inode 블록 이며 일반적으로 전체 디스크 공간의 1% 정도를 차지한다.
심볼릭 링크
심볼릭 링크는 원본파일에 새로운 inode2를 만들고, 데이터는 원본과 연결되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대부분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며, 비슷한 예로는 windows의 바로가기 아이콘이다.
사용법 : ln -s 링크대상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차이점 :
기존 원본파일의 위치를 포인터 형식으로 가리키는 심볼릭 링크는 하드링크와는 다르게 원본파일의 위치가 바뀌게 되거나 삭제가 된다면 심볼릭 링크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하드링크는 완전한 복사본이라 원본파일의 위치가 바뀌거나 삭제되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반응형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어 입력 재지정 (I/O Redirection), 파이프라인 (0) | 2021.02.22 |
---|---|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관련 명령어 (grep, find) (0) | 2021.02.22 |
리눅스 관련 기초 프롬프트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0) | 2021.02.19 |
프로세스 (0) | 2021.02.08 |
리눅스 - 마운트 (0) | 202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