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BS (Elastic Block Storage) :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블록 스토리지. 용량, IOPS 설정등이 가능하다. 스토리지 혼자 존재 불가능 * S3는 네트워크 스토리지, EBS는 서버에 추가할 수 있는 하드웨어 스토리지(SATA 하드 같은)와 같은 개념.
인스턴스를 하나 생성하여 기존 볼륨 8G를 20G로 늘리고 적용하는 것을 실습 해본다.
1) EBS 볼륨 수정
2) 파티션 용량 증가 확인 및 파일시스템 사이즈 적용
파티션 파일시스템에 적용.
error) xvda1 파티션에 사이즈 반영 resize2fs로 했으나 superblock 에러가 뜨면서 실패. => ex2,ex3,ex4 일 때만 사용이 가능하다.
3) blkid 명령어를 통해 /dev/xvda1 확인
xfs 파일시스템은 xfs_growfs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다시 df -h로 늘어난 것을 확인.
볼륨 생성하고 마운트 하기.
새로운 볼륨 생성 및 연결작업.
★ 같은 가용영역에 있는 인스턴스만 연결이 가능하다.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서버리스 아키텍처(Lambda 활용) (0) | 2021.06.11 |
---|---|
AWS - S3 (EC2 마운트) (0) | 2021.06.11 |
RDS 활용 DB 이중화 (마스터 = Onpremiss 슬레이브 = AWS) (0) | 2021.06.10 |
AMI (이미지 만들기) - web,tomcat + database (0) | 2021.06.10 |
AWS 기본 개념 (리전, 가용영역, VPC) (0) | 202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