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표 : S3를 EC2 인스턴스에 마운트해서 사용해보기
준비 : s3 버킷 , EC2 인스턴스 (Centos7버전)
1.인스턴스 접속
- 업데이트 yum update -y
- 설치 yum install epel-release
- yum install s3fs-fuse
- yum install s3fs awscli -y
*awscli : AWS 명령줄 인터페이스(CLI)는 AWS 서비스를 관리하는 통합 도구입니다. 도구 하나만 다운로드하여 구성하면 여러 AWS 서비스를 명령줄에서 제어하고 스크립트를 통해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AWS CLI는 Amazon S3에서 효율적으로 파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는 간단한 새 파일 명령 세트를 제공합니다.
2.내 보안 자격증명에서 액세스 키 생성
액세스 키 설정에 새 액세스 키 만들기
액세스 키 만들면 파일 하나가 저장이 된다.
3.인스턴스 안에 인증키 파일 생성(.s3fs-creds)
파일 내용으로는 aws에서 만든 액세스 키의 내용을 넣어준다.
AWSAccessKeyId=[액세스 키 값]
AWSSecretKey=[시크릿 키 값] 이런식으로 구성이 돼있는데 저 값들을
[액세스 키 값]:[시크릿 키 값] 형식으로 해서 .s3fs-creds 파일안에 내용을 저장해준다.
이 값이 있어야 awscli를 이용해 모든 것을 활용 할 수 있다.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 mkdir /s3
인증키 파일 권한 변경 chmod 600 ~/.s3fs-creds
3.마운트
s3fs [버킷 이름] [마운트포인트] -o passwd_file= ~/.s3fs-creds
4.확인
- df -h 명령어로 확인.
- /s3 폴더에 파일 하나 생성 후 s3에서 확인.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DK 사용 해보기(Python) (0) | 2021.06.16 |
---|---|
AWS - 서버리스 아키텍처(Lambda 활용) (0) | 2021.06.11 |
AWS - EBS 활용하기 (수정, 마운트) (0) | 2021.06.11 |
RDS 활용 DB 이중화 (마스터 = Onpremiss 슬레이브 = AWS) (0) | 2021.06.10 |
AMI (이미지 만들기) - web,tomcat + database (0) | 202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