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WS란
Amazon Web Service,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각종 원격 컴퓨팅 서비스(웹 서비스)이다.
AWS는 다른 웹 사이트나 클라이언트측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상당수는 최종 사용자에 직접 공개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개발자가 사용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PaaS이다.
아마존 웹 서비스의 각종 서비스는 REST 프로토콜 및 SOAP 프로토콜을 통해 접근, 이용 및 관리가 가능하다.
비용은 실제 사용량에 따라 결정되며, 일부 서비스의 경우 미리 고정된 금액을 지불하는 형태도 있다.
1) 리전(지역) 각 Amazon EC2 리전은 다른 Amazon EC2 리전에서 완전히 격리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가장 강력한 내결함성 및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를 볼 때 해당 리전에 배치된 리소스만 표시됩니다.
이는 리전이 서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이며, AWS는 각 리전 간에 자동으로 리소스를 복제하지 않습니다.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동일한 리전에 위치하고 있는 AMI를 선택해야 합니다. AMI가 다른 리전에 있는 경우는 해당 AMI를 사용할 리전으로 복사할 수 있습니다. 단, 리전 간 데이터 전송은 비용이 청구됩니다.
서울 리전 코드 : ap-northeast-2
2) 가용 영역(AZ) 가용 영역은 기본적으로 서로 격리되어 있지만, 한 리전의 가용 영역들은 낮은 수준의 지연 시간을 가진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인스턴스를 실행할 때 사용자가 직접 가용 영역을 선택하거나 AWS가 사용자를 위해 가용 영역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복수의 가용 영역에 걸쳐 인스턴스를 배포했을 때 하나의 인스턴스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대비하여, 다른 가용 영역의 인스턴스가 장애가 발생한 인스턴스 관련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탄력적 IP 주소를 사용하여 한 가용 영역에서 인스턴스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 다른 가용 영역의 인스턴스로 주소를 신속하게 매핑함으로써 인스턴스의 장애를 마스킹할 수 있습니다.
VPC : 사용자가 만든 가상 네트워크 , 하나의 리전에 생성되는 네트워크 대역(서울에는 4개의 데이터 센터가 있으니 이 4개를 논리적으로 묶음) 여기에서 각각의 네트워크대역을 만드는 것이 서브넷
나만의 VPC 만들어보면서 이해하기.
1. VPC 생성 (서비스에 VPC 검색 후 VPC 생성 클릭)
2. 서브넷 생성(왼쪽 메뉴에 서브넷 메뉴 선택 및 생성)
3. Public IP 자동 할당 설정.
4. 외부통신 설정(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 라우팅 테이블 편집)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게 0.0.0.0 추가해 줘야한다.( 라우팅 테이블 클릭 후 라우팅 편집 )
모든 네트워크 대역 (0.0.0.0/0)을 연결해줄 게이트웨이를 선택 하기위해 먼저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생성해준다.
외부 게이트웨이와 통신이 가능하게 라우팅 테이블 또한 설정을 마쳤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서버리스 아키텍처(Lambda 활용) (0) | 2021.06.11 |
---|---|
AWS - S3 (EC2 마운트) (0) | 2021.06.11 |
AWS - EBS 활용하기 (수정, 마운트) (0) | 2021.06.11 |
RDS 활용 DB 이중화 (마스터 = Onpremiss 슬레이브 = AWS) (0) | 2021.06.10 |
AMI (이미지 만들기) - web,tomcat + database (0) | 202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