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의 부팅과정은 이러한데 일반적인 컴퓨터의 부팅과정이라고도 생각해도 된다.
전원 켜기 -> POST (스스로 전원이 켜지는지 자가진단) -> BIOS 단계 -> 부팅장치 검색 -> 부트로더 실행(GRUB)
-> 실행할 커널 선택 -> 커널 로드 및 pid 1번 실행 (systemd) -> 기타 필수 프로그램 실행 -> 부팅완료
run level
0 - 시스템 종료상태
1 - 관리자만 이용하는 안전부팅 모드
3 - 거의 모든 자원 사용 가능한 텍스트 지원 모드
6 - 재부팅
systemd : system을 제어하는 systemctl 명령어 ( 옵션도 있지만 옵션보단 명령을 많이 쓴다)
start : 유닛을 시작
restart : 유닛을 재시작
stop : 유닛을 정지
status : 유닛의 현재 상태 확인
enable : 부팅 시 유닛이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설정한다.
disable : 부팅 시 유닛이 자동으로 시작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네트워크 설정
: centos7 기준 리눅스의 네트워크 설정하는 파일은
/etc/systemd/network-script/ 디렉토리에 있으며 os의 버전 및 종류에 따라 디렉토리명은 다르다.
대부분 네트워크 장치의 이름은 ens 또는 enp 로 시작한다.
ip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ifconfig 이며 구 버전에서는 net tools가 설치 돼 있지 않다면, ipaddr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우리는 네트워크 설정을 수동으로 해줄 때 저 ens 파일을 수정한다.
ens 파일의 ONBOOT = NO 라고 돼있는데 이걸 yes로 바꾸면 재부팅해서 서비스가 실행 될 때
이 파일을 인식시키는지, 인식시키지 않는지에 대한 설정 파일이고
BOOTPROTO = 정적으로 해줄지, 자동으로 해줄지에 대한 설정
IPADDR = 수동으로 설정시 ip 주소를 직접 입력해 줘야한다.
NETMASK = 넷마스크 입력
GATEWAY = 게이트웨이 주소
DNS1 = 사용할 DNS 주소
![](https://blog.kakaocdn.net/dn/Qxezk/btqYmIuoL2G/kJmuNuGR5KcfBwOEOrg3b0/img.png)
ens파일을 수정 하고나서 systemctl restart network 명령어를 실행해 네트워크 장치를 재시작 해줘야 한다.
설정이 제대로 잘 됐는지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해 확인해보면 된다.
많이 날 법한 에러로는
NetworkManager와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럴경우
systemctl stop NetworkManager (중지시켜주고)
systemctl restart network (네트워크 장치 재시작)
그래도 안 될시 vmware를 사용할 경우 해당 네트워크 장치를 제거한 후 다시 장착 시키면 되기는 한다,
라우터가 아닌 컴퓨터를 사용해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 해주는 장치 또는 기술을 로드밸런서라 한다.
로드밸런싱 같은 경우 여러 대의 서버를 두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 필요한 기술이다.
컴퓨터의 경우 자신에게 온 패킷이 아니면 그냥 버리는데 설정을 통해서 패킷을 전달해 줄 수 있다.
그 설정은
sysctl net.ipv4.ip_forward (ip 버리지말고 전달설정. 포워딩 기능)
sysctl -w net.ipv4.ip_forward=1 (자기한테 오지 않은 것도 전달)
단 이 명령어는 centos 7 버전에서 쓰이며 다른 버전은 그 명령어가 다르다.
CentOS8 버전 에서는 네트워크 장치를 수정해준 후
7 버전에서 처럼 systemctl restart network 혹은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로 해야 한다.
nmcli connection down [장치이름]
nmcli connection up [장치이름] 이렇게도 가능하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VM - 실습 (2) | 2021.02.26 |
---|---|
LVM - 이론 (0) | 2021.02.26 |
아카이브 및 압축 (0) | 2021.02.23 |
RAID 이론 및 실습 (0) | 2021.02.22 |
표준어 입력 재지정 (I/O Redirection), 파이프라인 (0) | 202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