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란? : 여러파일을 하나의 묶음으로 보관
- 테이프 장치에 파일을 보관하여 백업하거나 여러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어서 보관한다.
-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tar 아카이브 후 gzip 압축한 형태로 배포하는 경우가 많다.
명령어 :
tar [기능] [아카이브 파일] [묶을파일1][묶을파일2]
: 아카이브 파일 명은 따로 확장자를 쓰지 않아도 되지만 써놓는게 파일을 구분하는데 편하다.
확장자가 적혀있지 않다면 file [확인하고자 하는 파일] 명령어를 실행하면 파일이 어떤 형식인지 확인할 수 있다.
기능 (대쉬를 써도 되고 안써도 된다.)
- c : 새로운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
- x : 아카이브 파일에서 여러 파일을 해제
- t : 아카이브 파일에서 안의 내용을 조회
- f : 아카이브 장치 지정
ex)
- tar cvf fruit.tar banana apple kiwi == 아카이브 생성
- tar xvf fruit.tar == 아카이브 해제
아카이브 형태로 파일을 묶으면 용량이 늘어나므로 압축해서 배포하는 형태로 많이 쓰이고 보관한다.
압축 명령어
zip : zip [압축 파일 이름] [압축할 파일 이름] 해제 : unzip [압축 파일 이름]
gzip : gzip [압축 파일 이름] 해제 : gunzip[압축 파일 이름]
bzip2 : bzip2 [압축 파일 이름] 해제 : bunzip2[압축 파일 이름]
*압축 및 아카이브 를 한번에 실행 및 해제 하는 법
tar zcvf [압축파일명] [압축파일1] [압축파일2]
tar zxvf [해제할 파일]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VM - 이론 (0) | 2021.02.26 |
---|---|
리눅스 부팅과정 및 네트워크 설정 (0) | 2021.02.24 |
RAID 이론 및 실습 (0) | 2021.02.22 |
표준어 입력 재지정 (I/O Redirection), 파이프라인 (0) | 2021.02.22 |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관련 명령어 (grep, find) (0) | 202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