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플레이북이란?
사전적 의미는 각본, 작전, 계획을 뜻함.
예를 들어 수천개의 서버에 웹서비스를 설치 및 기동한다고 했을 때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되게 된다.
nginx 웹서버 설치 → 주요 페이지 전송 → 서비스 재시작
이러한 프로세스를 정의 해놓은 것이 플레이북이다.
플레이북은 멱등성(idempotent) 이란 특성이 있는데, 여러 번 연산을 실행해도 결과가 바뀌지 않는 특성을 말한다.
출처 :https://jordy-torvalds.tistory.com/83
작성 실습.
2대의 노드에 웹서비스를 설치 및 실행 하는 플레이북 작성.
---
- hosts: nginx
remote_user: root
tasks:
- name: install epel-release
yum: name=epel-release state=latest
- name: install nginx web server
yum: name=nginx state=present
- name: Start nginx web server
service: name=nginx state=started
Playbook 적용
ansible-playbook [playbook yaml 파일] -k
앤서블 코어 노드에서 관리하는 두대의 호스트에 nginx가 설치되고 실행 중인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ip.
구문 오류 시 오류내용 출력을 좀더 보기 쉽게 하기 위해 /etc/ansible/ansible.cfg 파일 수정
반응형
'Ansi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sible 정적 인벤터리 (0) | 2021.06.21 |
---|---|
Playbook 모듈 작성 연습 (0) | 2021.06.21 |
앤서블 ad-hoc 활용하기 (1) (0) | 2021.06.21 |
앤서블의 구성 파일 (0) | 2021.06.21 |
Ansible (설치 및 ssh 연결) (0) | 2021.06.18 |